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andas
- Til
- 데이터시각화
- 그리디 알고리즘
- matplotlb
- 데이터드리븐
- 부트캠프후기
- 백준
- 유데미부트캠프
- 데이터프레임
- 스타터스부트캠프
- 시각화
- 파이썬
- 판다스
- 정렬
- 유데미큐레이션
- python
- numpy
- ndarray
- 태블로
- 유데미코리아
- Leetcode
- DataFrame
- 유데미
- 취업부트캠프
- 코딩테스트
- 데이터분석
- 넘파이
- 브루트포스 알고리즘
- Tableau
- Today
- Total
Diary, Data, IT
[TIL] 14일차 TIL(20230223) - 디자인 씽킹 1일차 본문
[TIL] 14일차 TIL(20230223) - 디자인 씽킹 1일차
디자인 씽킹이란?
인간을 관찰하고 공감하며 문제를 정의하고 프로토타입과 테스트의 실패를 반복하여
최선의 답을 찾는 창의적 문제 해결 방법
오늘은 온라인 강의 수강이 아닌, 디자인 씽킹 수업을 진행했다.
분석이 필요한 문제를 찾아내고, 또 해결하는 분석가의 업무 과정 전체가
디자인 씽킹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알게됐다.
디자인 씽킹의 전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았다.
디자인 씽킹은 다음 5가지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1. 공감: 사용자들이 느끼는 불편, 문제를 파악하고 공감한다.
2. 정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을 바탕으로 문제를 정의한다.
3. 발상: 브레인스토밍, 스토리보드 등을 통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구성한다.
4. 프로토타입: 시제품을 만들어서 피드백하고 보완한다.
5. 실행: 피드백을 적용하고, 전체 프로세스의 신뢰를 바탕으로 실천한다.
오늘은 첫번째 단계인 '공감'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했다.
특히 상황이 주어졌을 때, 해당 상황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파악하는 활동을 진행했다.
<상황>
주요 국가별 보행사망자 점유율
시간대별 보행사망자 현황
연령층별 보행사망자 현황
<내가 세운 문제정의>
why?
보행 중 사망하는 사고가 계속 발생하는 상황 자체가 문제이다.
who?
이동하는 사람을 주시하지 않는 운전자,
주변 차량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지 않고 움직이는 보행자
what?
좁은 골목길, 시야를 가리는 주차된 자동차가 많은 도로
when?
집으로 많이 돌아가는 시간대
퇴근 시간 이후부터 밤
where?
우리나라 거주지 주변의 도로 특성상, 좁은 골목이나 도로 양 옆에 자동차가 주차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런 도로는 운전자의 시야를 가릴 수 있어 사고가 자주 발생할 것이다.
how?
운전자가 주변을 잘 살피는 것도 하나의 해결방안이 될 수 있겠지만, 이는 환경 특성상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따라서 인간이 자체적으로 조심하는 방법이외에도 기술의 발전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에 기댈 수 있을 것이다.
최근 발전하는 자율주행차들은 다양한 센서들을 탑재하고 있고, 센서들은 물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물체가 근거리에 갑자기 등장했을 때, 운행을 중단한다던가 하는 방식으로 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 같다.
문제 정의 과정에서 상황 자체에만 집중해서 결론짓거나 운전자의 입장에서만 생각했었는데
보행자의 입장, 특히 보행사고의 주 연령층인 고령자의 입장에서 생각하지는 못했었다.
하지만 문제를 직접 경험하는 사람들은 고령자였고, 이렇게 특정 상황에 대한 문제를 정의할 때에는
문제를 직접 겪고있는 사람들의 상황에서, 그들에게 공감했을 때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음을 깨달았다.
좋은 문제 해결은 '공감'에서부터 나온다.
공감은 문제 정의 과정뿐만아니라 이후의 과정에서도 항상 고려하며 진행해야
진짜 필요로하는 문제를 최적의 방식을 통해 혁신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팀별 활동을 주로 진행하면서 합을 맞춰가는 과정을 통해
프로젝트에서 팀원들 사이의 팀워크와 공감 또한 중요한 요소임을 느꼈다.
'STARTERS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16일차 TIL(20230227) - 디자인 씽킹 3일차 (0) | 2023.02.27 |
---|---|
[TIL] 15일차 TIL(20230224) - 디자인 씽킹 2일차 (1) | 2023.02.24 |
[TIL] 13일차 TIL(20230222) - ggplot, 가설검정, 상관계수 (0) | 2023.02.23 |
[TIL] 12일차 TIL(20230221) - 데이터 전처리, 시각화, dplyr (1) | 2023.02.21 |
[TIL] 11일차 TIL(20230220) - R 기초 (0) | 2023.02.20 |